애플맥북을 사용하면서 마이티마우스의 중앙 볼 스크롤에 이물질이 자주끼어서 자주 청소를 해 줘야했는데...

이제는 청소하는 번거로움이 없을 것 같습니다. 

새롭게 입양한 매직마우스......

근데 잠깐 사용해 보니...단점이 좀 있네요.  

1. 너무 날렵하게 생겨서 손바닥에 착 달라 붙는 느낌이 없습니다. 
2. 신상이라서 그런지 손가락과 마우스표면의 마찰력이 많아서 상하좌우로 스크롤을 하는데 있어서 
    마우스가 움직이는 단점 (너무 가벼워서일 수도 있겠네요.)


장점은
간지 폭풍이구요. 
볼을 돌릴 필요도 없구요. 마우스 상단 앞쪽부분이 노트북 패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애플의 전통적인 투명 아크릴박스에 보관되어져 온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옆 라인이 참 예술이긴 합니다. 

하지만 이 라인 때문인지...손에 감기는 맛은 없습니다. 손이 작으신 분들에게는 좋을듯...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폴쉐를 보시는 것 같지 않습니까?

정말 라인은 예술이네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마이티마우스와 비교해서 우측의 매직마우스는 스크롤볼이 없습니다. 

청소에서 해방되구요. 불편함이 없습니다. 


Apple iPod and iPhone (2g, 3g) Dock Interfaces pinout

connector or cable wiring scheme


Used in 3rd and later generation iPods for charging, connecting to a PC via USB or Firewire, to a stereo via line-out, to a serial device (controlled via the Apple Accessory Protocol).


This connector exists in most Apple iPod MP3 players (iPod 3G, 4G, 5G Video, 5.5G Video, Nano (1G, 2G, 3G, 4G), Mini, Classic, Touch, Touch 2G, and iPhone (1G, 3G and 3GS))



Different resistances indicate accessory type:

1kOhm - iPod docking station, beeps when connected
10kOhm - Takes some iPods into photo import mode
68kOhm - makes iPhone 3g send audio through line-out without any messages
500kOhm - related to serial communication / used to enable serial communications Used in Dension Ice Link Plus

                 car interface
1MOhm - Belkin auto adaptor, iPod shuts down automatically when power disconnected Connecting pin 21 to ground with a

               1MOhm resistor does stop the ipod when power (i.e. Firewire-12V) is cut. Looks to be that when this pin is

               grounded it closes a switch so that on loss of power the Ipod shuts off. Dock has the same Resister.




Pin Signal Description
1 GND Ground (-), internally connected with Pin 2 on iPod motherboard
2 GND Audio & Video ground (-), internally connected with Pin 2 on iPod motherboard
3 Right Line Out - R (+) (Audio output, right channel)
4 Left Line Out - L(+) (Audio output, left channel)
5 Right In Line In - R (+)
6 Left In Line In - L (+)
8 Video Out Composite video output (only when slideshow active on iPod Photo)
9 S-Video Chrominance output for iPod Color, Photo only
10 S-Video Luminance output for iPod Color, Photo only
11 GND Serial GND
12 Tx ipod sending line, Serial TxD
13 Rx

ipod receiving line, Serial RxD

14 RSVD Reserved
15 GND Ground (-), internally connected with pin 16 on iPod motherboard
16 GND USB GND (-), internally connected with pin 15 on iPod motherboard
17 RSVD Reserved
18 3.3V 3.3V Power (+) 
Stepped up to provide +5 VDC to USB on iPod Camera Connector. If iPod is put to sleep while Camera Connector is present, +5 VDC at this pin slowly drains back to 0 VDC.
19,20 +12V Firewire Power 12 VDC (+)
21 Accessory Indicator/Serial enable

Different resistances indicate accessory type:
1kOhm - iPod docking station, beeps when connected
10kOhm - Takes some iPods into photo import mode
68kOhm - makes iPhone 3g send audio through line-out without any messages
500kOhm - related to serial communication / used to enable serial communications Used in Dension Ice Link Plus car interface
1MOhm - Belkin auto adaptor, iPod shuts down automatically when power disconnected Connecting pin 21 to ground with a 1MOhm resistor does stop the ipod when power (i.e. Firewire-12V) is cut. Looks to be that when this pin is grounded it closes a switch so that on loss of power the Ipod shuts off. Dock has the same Resister.

22 TPA (-) FireWire Data TPA (-)
23 5 VDC (+) USB Power 5 VDC (+)
24 TPA (+) FireWire Data TPA (+)
25 Data (-) USB Data (-)
26 TPB (-) FireWire Data TPB (-)
27 Data (+)

USB Data (+) 
Pins 25 and 27 may be used in different manner. To force the iPod 5G to charge in any case, when USB Power 5 VDC (pin 23) is fed, 25 must be connected to 5V through a 10kOhm resistor, and 27 must be connected to the Ground (for example: pin 1) with a 10kOhm resistor.

iPod 5G can also be forced to charge by attaching the data + and the data - pins to the 5v via a 10k Ohm resistor ( BOTH PINS) and connecting pin 16 to the 5v (ground). (Confirmed working with iPod 5G 20GB)

To charge an iPhone 3G / iPod Touch 2nd gen, usb data- (25) should be at 2.8v, usb data+(27) should be at 2.0v. This can be done with a few simple resistors: 33k to +5v (23) and 22k to gnd(16) to obtain 2v and 33k to +5v and 47k to gnd to obtain 2.8v. This is a notification to the iphone that i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harger and may drain amps from the usb.

28 TPB (+) FireWire Data TPB (+)
29,30 GND FireWire Ground (-)
Back side of dock connector;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Pins 1,2 connected on motherboard.
Pins 15,16 connected on motherboard.
Pins 19,20 connected on motherboard.
Pins 29,30 connected on motherboard.


If you disassemble the original apple-ipod-dock-connector-cable and look at the connector itself, on the back side, where it is soldered, you can see the number 1 and 30 (e.g. pin 1 and 30). In this description NUMBERING is INVERSED: pin 1 is pin 30 and pin 29 is pin 2, so, don't look at numbers on connector.


The remote control, iTalk and other serial devices use Apple Accessory Protocol for communication with iPOD.


This protocol was introduced with the 3rd generation iPods, and is also compatible with the 4th generation iPods and mini iPods.


The connections uses a standard 8N1 (one startbit 8 data bits 1 Stopbit) serial protocol, 19200 baud (higher rates up to 57600 also possible, but speed faster than 38400 may cause problems with large amounts of data), delay of 12 microseconds inserted between end of the stopbit and the beginning of the next startbit (also working without this delay).
Electrical: high +3,3V low 0V
default line state: high. Codes used for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s are here

외부 모니터로 출력할때 

반영해서 출력하느냐, 아니면 확장식으로 출력하느냐


1. 맥북을 켠다 (이때까지도 미니디스플레이포트는 꼽지 않는다)

2. 맥북 자기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처음 바탕화면으로 진입한다

3. 맥북을 닫아서 잠자기로 해논다

4. 미니디스플레이를 꼽는다 (당연히 TV/모니터가 1920x1080을 지원하는 풀HD디스플레이어야겠죠?)

4. 외부 키보드/마우스로 아무버튼이나 누른다 (확실하게 키보드버튼이 잘되더군요)

5. 맥북이 켜지면서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간다 (맥북모니터는 반영 X 확장 X 상태인채 본체역활만 됩니다)
(사운드 출력을 원하시면 디스플레이 input에 맥북 헤드폰입력에 꽂으시면 디스플레이에서 사운드출력도 가능합니다)

6. 통풍을 위해 맥북은 열어둔다
애플의 마이티 마우스 애플유저라면 누구나 사용하는 마우스일것이다. 
하지만 한가지 단점이라면 스크롤 볼에 먼지가 잘들어간다는 것과 청소하는게(분해하여) 쉽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필자도 이러한 문제점으로 짜증스러워 안되면 버릴생각으로 분해를 시작했다. 
처음 분해를 시도해 본거지만 생각보다 어렵지가 않았고, 앞으로도 쭉 이 방법으로 청소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짜증스러운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을것 같다. 

단 필자는 손재주가 좀 있는 편이다. 손재주가 없는분들(스스로의 판단에 따라서..)은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기 바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우측으로부터 분해 순서다. 

필자가 처음 분해를 해본거라 실수했다.. 우측에서 2번째는 분해를 할 필요가 없다. (절대하지 마시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스크롤 뭉치를 미니 드라이버를 이용해서 풀어야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스크롤 부분만 접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마우스 상판의 배선을 커넥터와 분리하는 방법이다. 

분리할때는 그냥 조심스럽게 잡아당기면 분리가 된다. 

하지만 다시 연결할때는 검정색 lock부분을 위로 밀어 올리고, 배선을 넣은다음 다시 lock 부분을 밀어 배선을 잡아주면 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스크롤 뭉치의 전제 분해모습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조립의 1순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조립 2순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조립 3순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조립 4순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조립 5순위, 이 부분이 중요하다. 가운데 부분 볼과 맞닿는 부분을 잘 닦아주어야 한다. 조립할때는 볼과 맞닿는 부분의 검정색 링부분이 자석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니드라이버에 붙여 조립작업을 하면 손쉽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상판과 하판의 조립시 위 사진의 우측상단 부분의 립 부분이 아래사진의 립 부분 위로 올라와야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위 사진의 우측 원형 기둥(?)부분이 아래 사진의 홈 부분에 끼워져야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사진에서 우측에 있는 파트는 분리하면 안된다. 좌측에 있는 부품을 조립이 되지 않는다. 양면테잎이나 순간접착제를 사용하면되겠지만 차후에 분해시 문제가 될것이다. 꼭 필요한 부분은 아니니 다른곳에 보관을 하거나 버려도 무방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