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스크랩] 결혼, 체크리스트 2010.08.04
- 카본 종류와 특징 2010.08.04 1
- 목 디스크 MRI 사진 2010.08.04
- [스크랩]캐드명령어 모음 2010.08.04
[스크랩] 결혼, 체크리스트
카본 종류와 특징
- 2009/01/15 09:40
* 특징
1) 기계적특성: 금속에비해 밀도는 낮고, 인장강도와 인장탄성이 높으며, (피로/강도)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며, 마모특성, 윤활성이 뛰어나다.
2) 열적특성: (직)선상의 팽창계수가 작고, 차원(dimensional)안정성이 좋으며, 열에 의한 기계적특성 파괴/악화에대한 저항력이 강하며(열에의해 기계적특성이 파괴되는 것을 막아주며), 극도의 저온에서 열전도성이 낮다.
3) 전기적,전자석특성: 전기전도성(율), 전자파 방지, X-선 투과성에도 뛰어나다.
4) 화학적,물리화학적특성: 화학적 안정성이있고, 산, 알카리, 각종용제에 대한 저항성이 탁월하다.
# FILAMENT (탄소섬유의 초기 제품: 원사)
Filament는 다섯가지형태로 나온다. : 탄소섬유의 한가닥이 1,000-, 3,000-, 6,000-, 12,000-, 24,000- 개의 섬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일반품/표준품(Standard strands)는 꼬임이 없다. 미터당 15회선의 strands도 공급가능하다. 이러한 strands는 다양한 목적을 충족시키기위해 각종 매트릭스 수지와의 경쟁성을 향상시키기위해 특수표면처리와 싸이징을 다양화시키고 있다.
# WOVEN FABRIC
표준품은 평직, 능직, 수자직 형태로 짜여진것들이 있다. Tape으로 짜여진 섬유와 braid(땋인모양)도 공급가능하다. 또한 전통무늬의 섬유도 공급가능하다.
# PREPREG
Prepreg는 열경화성 수지에 탄소섬유를 함유시켜 판(sheet)모양으로 만들어놓은 성형용 중간재이다. 다양한 탄소섬유(직물)는 그 의도되는 용도에 따라 범용 epoxy resin(수지), 내열 epoxy수지, 인화성 epoxy수지, polyamide 수지등과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품질의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 Hot Melt System(법)의 UD tape과 sheet prepreg
* Hot Melt System의 직물 prepreg
* 용제법의 직물 prepreg
* Strand prepreg
# CHOPPED FIBER : 주로 수지 compound용으로 사용.
Chopped fiber는 고강도, 고탄성율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제품이다. 이 탄소섬유는 그 용도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만들어져/포장해서 사용되며, 특정길이로 잘려서 사용된다. Chopped fiber는 주로 열가소성수지를 강화시키기위해 사용된다. 표준(품) Chopped fiber는 길이가 6mm이지만, 표준품보다 길이가 더 짧은 Milled fiber도 공급가능하다.
우리는 보강효과와 작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chopped fiber가 사용되는 수지에 따라서, 그리고 그 용도와 가공에 따라서 적절한 sizing 처리를 선택하고 있다.
그외 CHOPPED FIBER에 nickel-코팅된 탄소섬유가 있다. 이것은 탄소섬유와같은 탁월한 기계적특성과 금속의 전기적특성을 함께 가진 고기능성 탄소섬유이다. 우리는 다양한 분야에 이 섬유를 적용시키기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MC는 특히 EMI(Electromagnetic-interference) shielding material(재료)을 채우는데 적절하다. 10~20wt%(10vol% 이하)의 MC만으로도 충분한 shielding 효과를 낸다. 기계적특성은 더욱더 향상될것이라 예상된다
목 디스크 MRI 사진
- 2008/11/27 19:07
[스크랩]캐드명령어 모음
- 2008/11/25 12:17
|
캐드명령어
1. NEW: 새로운 도면을 시작한다.
→ 새로 작성될 도면에 대한 Inch(영국식) 단위와 mm(십진법)단위를 설정한다.
→ 신속 설정과 고급 설정을 사용하여 도면의 단위,각도,도면의 크기 등을 설정한다.
2. SAVE: 현재 작업중인 도면을 저장한다.
3. SAVETIME: 도면 자동 저장 시간을 설정한다.
→ 임시 저장 장소에 auto1.sv$...란 이름으로 자동 저장된다.
4. OPEN: 저장되어 있는 도면을 불러들인다.
→ 사용자가 필요한 파일을 찾을 수 있다.
→ 찾고자 하는 도면의 내용을 쉽게 검색하도록 한다.
→ 필요한 항목을 입력하고 검색(r) 버튼을 클릭하면 검색된 내용이 화면에 나타난다.
5. SAVEASR12: AutoCAD R12 버전의 형식으로 도면을 저장한다.
→ Test란 파일명으로 R12에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면을 저장한다.
6. QSAVE: 현재 도면 이름으로 저장된다.
→ 만일 도면의 이름이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도면의 이름을 물어본다. 도면의 명칭이 지정되어 있으 면 바로 저장한다.
7. SAVEAS: 현재 도면의 이름을 변경하여 저장한다.
8. QUIT: 도면의 저장 여부를 지정 후 AutoCAD를 종료한다.
→ 사용자가 작업한 도면을 저장할 경우에는 예를 선택한다.작업한 도면을 저장하지 않을 경우에는 아니오를 선택한다.취소는 QUIT 명령을 취소하고 AutoCAD 화면으로 되돌아 간다.
9. EXIT: 현재 파일 이름으로 저장 후 AutoCAD를 종료한다.
10. ABOUT: AutoCAD의 버전을 표시한다.
11. HELP: AutoCAD 의 도움말을 표시한다.
12. LIMITS: 도면의 작업 영역(도면의 크기)을 설정한다.
→ 켜기(ON): 도면 영역의 한계(크기)를 점검한다. 도면의 한계 영역 밖에 커서가 위치하면 커서의 십자선 모양은 일반 화살표 커서의 모양으로 바뀌게 된다.
→ 끄기(OFF): 도면 영역의 한계를 점검하지 않는다.
13. LINE: 직선을 그린다.
▶ OPTION
→ U: 라인 작성 중 “U"를 입력하면 마지막 점부터 입력이 취소된다.
→ C: 라인의 처음 시자점으로 선이 연결되며 라인 명령을 종료한다.
→ @: 마지막의 좌표점을 의미한다.
▶ 좌표계: 좌표계란 Point의 입력 방법으로X,Y,Z값을 효과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며, 이런 입력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좌표계가 존재한다.
→ 절대좌표 ≡ 절대좌표란 좌표축X,Y,Z의 값이 0,0,0인 장소에서부터 시작된 값으로, 0,0,0에서부터의 증분에 해 당하는 좌표를 의미한다.
① 절대 직교좌표
X,Y,Z값을 바로 입력하는 좌표계로 X,Y,Z의 값은 왼손법칙을 따른다. 즉 왼손을 십자로 편 상태에 서 (+) 방향을 알아볼 수 있다.
▸X축: 화면의 가로 방향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값이 증가한다.
▸Y축: 화면의 세로 방향으로 아래쪽에서 위로 값이 증가한다.
▸Z축: 화면이 보이는 방향으로, 화면의 뒷면에서 앞면으로 값이 증가한다.
② 절대 극좌표
극좌표란 거리와 각도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좌표 개념으로 동쪽 방향을 기준0도로 하여 반시계 방 향으로 증가하는 각도와 절대값 거리를 기준으로 설정한다. 극좌표는“<”를 써서 극좌표임을 표시한다.
→ 상대좌표 ≡ 상대좌표란 그 전에 입력한 좌표를 기준(0,0,0)으로 가정한 상태에서 입력하는 값으로 “@”를 입력 하여 구분한다.
14. U: 마지막 명령을 취소한다.
15. UNDO: 취소할 명령의 옵션을 설정한다.
▶ OPTION
→ 자동(A): 켜기(ON)/끄기(OFF) <켜기>: 명령어 시작시에 Undo 시작 (BE)을 삽입하고 명령이 끝 남과 동시에 Undo 끝(E)을 삽입함을 의미하며 이를 제어한다.
→ 조정(C): 전체(A)/없음(N)/하나(O) <전체>:Undo 명령을 제한하는 것으로 Undo 명령시 나타나는 프롬프트를 제어한다.
→ 시작(BE)/뒤(E): Undo 명령이 하나의 항목으로 시작됨을 의미하며, 끝(E)과 함께 하나의 Group를 형성하여 한번에 U로 취소한 수 있음을 의미한다.
→ 표시(M)/뒤(B): 표시(M)란 Undo로 설정된 인덱스를 하나 만들어 두는 것으로, 뒤(B)에 의하여 그 전에 표시(M)를 하기 바로 전의 상태로 회목 살 수 있다.
→ <숫자>: 명령을 취소한 횟수만큼 입력한다. Enter만을 입력시 1회에 한한다.
16. REDO: U,UNDO를 사용하여 취소되었던 명령을 1회에 한하여 회복한다.
17.ZOOM: 화면이 보여지는 크기의 확대, 축소를 설정한다.
▶ OPTION
→ 전체(A): 전체 화면을 표시한다.
→ 중심(C): 화면의 중심과 높이를 설정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 동적(D): 동적으로 화면을 설정한다(마우스 왼쪽 버튼은Size의 재조정이며, 해당하는 화면설정이 완료되면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설정을 완료한다).
→ 범위(E): 요소가 그려진 공간을 최대로 보여준다.
→ 이전(P): 이전에 보여진 화면을 다시 보여준다.
→ 축척(X/XP): 도면을 주어진 비율로 확대축소하는 것으로 1.0을 기준으로 0.1x는 화면을 10분의 1 축소,10x는 화면을 10배로 확대한다. 0.5xp를 입력한 경우에는 모형 공간의50%로 도면 공간을 축소한다.
→ 윈도우(W): 화면의 확대 영역을 마우스로(두 점) 지정한다.
→ <실시간>: 실시간으로 줌고 k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입력하여 나가기를 선택해서 명령을 종료한다.(PAN에서 설명).
→ 화면에서 좌표를 선택하면 위도우(W) 모드가 실행된다.
18. PAN: 화면의 보이는 공간을 축척은 그대로 두고 화면을 이동하여 보여 준다.(이기능은 Zoom <실 시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ESC 또는 엔터를 눌러 종료하거나, 또는 오른쪽 클릭으로 팝업 메뉴를 활성화한다.
▶ 초점이동
▸줌을 선택하면 화면의 중심에서 밖으로는 확대가 되고, 밖에서 안쪽으로는 축소에 해당한다.
▸줌 위도우는 화면의 경계를 사용자가 지정한다.
▸줌 이전: 이전 화면을 보여 준다.
▸줌 범위: 화면을 최대 크기로 보여 준다.
▷ 화면의 Display와 연관되는 변수
① 명령: EXTMAX(Setvar)
설명: 현재 도면에 그려진 요소의 우측 상단의 좌표접을 설정한다.
② 명령: EXTMIN(Setvar)
설명: 현재 도면에 그려진 요소의 좌측 하단의 좌표점을 설정한다.
19. GRAPHSCR: 도면 영역을 보여 준다.
20. TEXTSCR: Text 명령행 화면을 보여 준다.
21. DSVIEWER: 공중 QV를 이용하여 화면을 보여준다.
22. GRID: 격자/모눈 간격을 설정한다.
▶ OPTION
→ 켜기(ON): 모눈 격자를 화면에 나타낸다.
→ 끄기(OFF): 모눈 격자를 화면에서 표시하지 않는다.
→ 스냅(S): 스냅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정한다.
→ 종회비(A): 수평축과 수직축의 비율을 설정한다.
▸수평 간격(X) <0.0000>: 수평 간격을 입력한다.
▸수직 간격(X) <0.0000>: 수직 간격을 입력한다.
→ <0.5000>: 모눈 격자의 간격을 입력한다.
23. SNAP: 설정된 간격만큼 마우스를 이동시킨다.
▶ OPTION
→ 켜기(ON): Snap 설정을 적용한다.
→ 끄기(OFF): Snap 설정을 적용하지 않는다.
→ 종횡비(A): 수평과 수직의 비율을 설정한다.
▸수평 간격(X) <0.0000>: 수평간격을 입력한다.
▸수직 간격(X) <0.0000>: 수직간격을 입력한다.
→ 회전(R): 기준점을 중심으로 마우스의 회전 각도를 설정한다.
▸기준점 <0.0000,0.0000>:기준점을 입력한다.
▸회전 각도 <0>: 회전 각도를 입력한다.
→ 유형(S): 표준이나 등각의 Snap를 설정한다.
▸표준(S)/등각(I) <S>
▹표준(S)시- 간격/종횡비(A) <0.5000>: 일반적인 Snap을 사용한다.
▹등각(I)시- 수직 간격 <0.5000>: 등각투영도의 방식으로 30도와 150도 각도 상태로 Snap을 설정한다.
→ <0.5000>: Sna의 간격을 입력한다.
24. ORTHO: 마우스 입력 커서의 상태를 수직이나 수평으로 설정한다.
▶ OPTION
→ ON: 직교 설정을 적용한다.
→ OFF: 직교 설정을 적용하지 않는다.
25. ISOPLANE: SNAP 명령의 선택 사항 중에 등각 형식을 지정하여 등각 투영도를 그릴 수가 있는데,ISOPLANE 명령은 등각형 스냅을 설정한 후, 등각 투영도 활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명령이다.
▶ OPTION
→ 왼쪽(L): 다음의 그림에서 90도와 150도의 축이 한 쌍으로 생겨나서,X축은 150도의 축을 따라 움직이고, Y축은 90도의 축을 따라 움직이다.
→ 맨위(T): 30도의 축을 따라 움직이는 x축과 150도의 축을 따라 움직이는 Y축이 생긴다.
→ 오른쪽(R): 30도의 축을 따라 움직이는 X축과 90도의 축을 따라 움직이는 Y축이 생긴다.
26. COORDS: 화면의 마우스 위치를 좌표값으로 상태바에 표시한다.
27. UNITS: 도면에서 사용하는 단위를 설정한다.
28. DDUNITS: 다이얼로그 박스를 사용하여 길이와 각도의 단위를 설정한다.
▶ OPTION
→ 단위: 거리 측정 단위 형식을 설정한다.
→ 각도: 측정 각도 형식을 설정한다.
→ 정밀도: 거리와 각도 단위 형식의 소수자리를 설정한다.
→ 방향: 각도 단위의 기준 방향을 설정한다.
▸각도 0방향: 단위 형식의 0゜방향을 설정한다. 이 선택 사항은 각도 입력과 표시 형식에만 영향을 준다.
▸기타: 사용자가 0〫방향을 설정한다. 각도와 선택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각도: 사용자가 설정한 각도를 표시한다.
선택: 사용자가 직접 화면 영역에서 두 점을 기준으로 0〫방향을 설정한다.
▸방시계 방향: 각도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한다.
▸시계 방향: 각도 방향을 시계 방향으로 설정한다.
29. MULTIPLE: 하나의 명령을 연속 사용한다.
30. CIRCLE: 원을 그린다.
▶ OPTION
→ 3P: 세 점을 통과하는 원을 작도한다.
→ 2P: en 점간의 거리가 지름에 해당하는 원을 작도한다.
→ 두 접선과 반지름(T): en 객체의 Tangent(접선)와 반지름을 이용하여 요소에 접하는 원을 작도한다.
→ 지름(D): 원의 지름값을 입력한다.
→ <반지름>: 반지름을 입력한다.
31. ARC: 호를 그린다.
▶ OPTION
→ 중심점(C): 호의 중심을 입력한다.
→ <시작점>: 호의 시작점을 입력한다.
→ 끝(E): 호의 끝점을 입력한다.
→ <두번째 점>: 호의 중간에 있는 두 번째 점을 입력한다.
→ 각도(A): 원의 내부 각도를 지정한다.
→ 길이(L): 현의 길이를 입력한다.
→ 방향(D): 접선의 방향을 입력한다.
→ 반지름(R): 호의 반지름을 입력한다.
→ 연속(C): 끝점에서 접선으로 연속된 호를 작성한다.
32. OSNAP: 객체 스냅의 위치 지정점을 설정한다.
▶ OPTION
→ 성정값 선택: 객체 스냅의 위치점을 설정한다.
▸끝점(E): 선택된 객체의 끝점을 지정한다.
▸중간점(M): 선택된 객체의 중간점을 지정한다.
▸중심점(C): 선택된 객체의 중심점을 지정한다.
▸질점(d): 선택된 객체의 POINT 요소의 점(절점)을 지정한다.
▸사분점(Q): 선택된 객체의 사분점을 지정한다.
▸교차점(I): 선택된 객체의 교차점을 지정한다.
▸삽입점(s): 셰이프,문자,블록,속성의 삽입점을 지정한다.
▸수직점(P): 선택된 점의 수직 방향의 기준점을 지정한다.
▸접선(T): 선택된 원, 호의 접점을 지정한다.
▸근처점(r): 선택된 객체의 가장 가까운 점을 지정한다.
▸가상 교차점(A): 선택된 객체의 가상 교차점을 지정한다.
▸신속(u): 객체 스냅의 옵션 중에서 가장 먼저 지정되는 점을 찾는다.
▸전체 비우기(l): 선택된 객체스냅을 모두 취소한다.
→ 조준창 크기(z): 객체 스냅의 위치 표적 상자의 크기를 설정한다.
→ 설정값 선택: 자동 스냅의 설정값을 선택한다.
▸표식기(k): 객체 스냅의 위치가 표식기를 표시한다.
▸자석(M): 객체 스냅의 위치점에 가까이 가면 자동으로 위치점으로 이동한다.
▸스냅팁(S): 객체 스냅의 위치점에 rkRK이 가면 자동으로 객체 스냅의 이름을 표시한다.
▸조준창 표시(D): 객체 스냅의 위치 조준 상자를 표시한다.
→ 표식기 크기: 객체 스냅 표식기의 크기를 설정한다.
→ 표식기 색상(c): 객체 스냅 표식기의 색상을 설정한다.
→ 추적하기(TK): 직사각형의 X축,Y축의 중심점을 찾는다.
→ 시작점에서 시작하기: 선택된 정점을 기준으로 입력된 위치만큼 정점을 설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