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nibody-X for MBP3

Unibody-X for MBP 개선사항 수정 2010. 8. 3.
완성 Unibody-X for MBP MBP하고 받침대의 밀착면을 보여드리기 위해서 찍은 사진입니다. 정확히 딱 밀착됩니다. 때문에 열 전달이 아주 잘됩니다. 하지만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렇게 밀착을 시켜 놓으니...좀 사용하다가 보면 하판에 스크렛치가 발생될 우려가 있네요. 고민입니다. 발열 때문에 Al 소재를 사용해서 가공을 하긴 했는데...발열을 선택하는냐...아니면 그냥 받침대를 선택하는냐가 문제일듯 합니다. ^^ 카메라 삼각대와 볼헤드를 이용해서 각도조절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이렇게 홈을 파 놓아서 배선정리하기 좋습니다. 측면으로 배선나오는거 불편할듯해서 이 홈을 이용해서 후면으로.. MBP가 미끄러지지 않고 브로킹 하는 부분입니다. 전체적으로 배선 정리된 모습이네여. 감도 때문에 가끔 유선마우스 사용하는데...이렇게 배.. 2010. 8. 3.
Unibody-X for MBP 최근에 구입한 Macbook pro 노트북을 위해서 설계하고 가공까지 하게되었다. MBP(MacBook Pro)가 Unibody(Al body)이기 때문에 소재도 동일한 소재를 선택하게 되었다.. 앞서 리뷰를 올린적이 있지만 애플에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방식을 채택하는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일것이다. - 냉각성능의 최대화 - 바디 내부의 공간최소화 - 전체크기 최소화 - 가벼움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알미늄 바디를 채택하게 된것으로 생각이된다. 때문에 바디의 냉각성능을 높여주기 위해서 알미늄으로 애 플과 동일한 방식으로 가공을 하게된 것이다. 접지 문제나, 냉각문제에 있어서는 앞으로 신경쓰지 않아도 될 듯.... 2010.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