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작업이 완료된 모습이다.

슈 접점보호 커버가 끼워진 모습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지난번 임시로 급조했던(메모리카드 보관함)것을 최근에 설계하여 만들어 장착을 했다.

 

SLRClub.com의 " 막눈이와막샷 " 님께서 무상으로 가공해주셔서 내가 하나 장착하고 4개는 다른분들에게 드렸다.

 

이렇게 깔끔하게 가공을 해 놓고보니...무척 맘에든다.

 

실제 장착을 해보니..설계상의 오류가 약간있지만 큰 문제가 되진 않을듯 하다.

 

처음부터 이런 보관함이 스트로브에 마련이 되어 있다면 사용중에 분실한 이유도 없을 것이다.

 

나의 사소한 불편함 때문에 시작이 되었고....또 좋은분들은 만난것 같다.

  • 2008/11/06 11:49

아이팟을 차량에서 듣기 위해서 별쇼를 다했네요. 

첫번째로 10년째 듣고있는 카오디오 개조를 통한 AUX 단자를 만들었습니다. 
 
생각보다 쉽더라구요.(씨디체인져 라인을 이용했습니다.)

두번째로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및 거치대....그런데...다 받품했습니다. 전원노이즈가 생성되어 음질 꽝입니다.
뭐 제가 추가로 오디오를 하나 더 장착해서 그럴 수 있지만 아이팟 때문에 오디오를 바꾸고 싶은 생각은
들지 않아서요.... ^^

한 동안 아이팟을 차량 눕혀놓고 다녔는데...보통 불편한게 아니더군요. 그래서 검색을 통해서 쓸만한 거치대를
찾아 봤는데...이거다 싶은게 없어서 차량용 거치대를 만들기로 결심했습니다. 

아이팟에 출력단자가 있지만...매번 꼽았다가 빼고...하면 오래 사용하지 못할 것 같아 메인출력단을 이용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다보니...한정적인게...유니버설덕 밖에는 없더군요. 

이 덕은 탁상용입니다. 따라서 차량에서도 들을 수는 있습니다만....둔턱을 넘어때나 핸들을 과격하게 좌우로
흔들면 덕에서 아이팟이 탈거되버립니다. 

이런 문제점을 가만 두고 볼 수 없는 성질때문에....고민고민을 하다가 덕 상단에 아이팟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는
뭔가를 설치하기로 결정하고 보니....또 고민이 시작됩니다. 아이팟 터치 2세대는 후면이 타원형을 유지하고 있어서...
그렇게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였습니다. 

또 고민...고민을 하다가....터치 구입시 순정케이스(투명프라스틱)내부에 터치를 잡아주는 거치틀이 있는데...
이 틀은 터치의 상하 곡면을 따라 잡주는 역활을 하는 것을 좌우 조금씩 잘라내고 가운데 부분도 잘라내고 해서
좌우를 잡아줄 수있도록 했습니다. 

물론 톱질해야 합니다. ^^ 그리고 고정할때 접착제를 사용해야합니다. 
때문에 사진에서 보시면 좀 지져분 합니다. 
조만간 깔끔하게 보강해야죠....

이렇게 만들어 놓으면 차량에서 전혀 흔들림이 없습니다. 
물론 덕의 위치를 잘 잡아서 고정해야 합니다. 
또한 유니버셜덕에 리모컨이 따라서 나오기 때문에 운전시 터치를 만질 필요도 없습니다. 
그냥 리모컨을 이용해서 컨트롤하면 됩니다. 


MST_3311.jpg

최종 완성된 모습입니다. 


MST_3313.jpg


MST_3314.jpg
MST_3315.jpgMST_3316.jpg

좌측에 line out 단자가 있습니다. 
이곳과 차량의 Aux 단자를 케이블로 연결해 주시면 됩니다. 


MST_3318.jpg

 

  • 2008/10/21 20:56

지난 토요일에 코엑스 a#에서 구입을 했다.

 

오래전 부터 영어공부 때문에....구입을 고려했었는데...이제 구입을 하게되었다.

 

때문에 클라리온 9255 테크도 10년만에 AUX 개조를 했다. 약간의 불편함이 있지만...쓸만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초기 부팅화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구입시 기본으로 깔린 어플들의 아이콘들이다.

 

내가 HP PDA, 삼성 스마트폰인 미라지도 가지고 있어서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

 

PDA는 스케줄 관리나 연락처 관리 등등이 불편해서(핸폰이랑 함께 가지고 다니는것 포함) 현재 네비로만 사용하고 있다.

 

네비로 사용하는데 큰 불편함은 없다. 다만 구입시 70만원 가까이 지불하고 네비로만 사용하는게 좀....돈지랄했다.

 

그리고 지난 여름 해외출장시 구형 핸폰이 로밍이 되지 않아 어쩔 수 없이 미라지를 구입했지만...3G의 통화음질 불만과

 

자판 누르는데 불편함(작아서..) 그리고, 이어폰 장착시 불편함, 충전시 불편함 등등이 많아서 활용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두 돈지랄이다. 조만간 팔 생각이다.

 

아이폰은 아직 큰 불편함은 없다. 휴대성도 좋고, 메일확인하는것도 무선인터넷만 지원되는 곳에서는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

 

다.  물론 꽁짜고, 기타 다른 사이트 접속에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아서 좋다.

 

미라지 같은 경우는 이용하는데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물론 터치도 어플들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구입을 해야한다. 무료도 있지만...

 

이것저것 많이 써 봤지만....뭔가 불편한것 같으면서도 편하 GUI를 가지고 있다.

 

현재 가장 큰 불만 사항은 자판 터치하는데 손가락이 두꺼워서 터치하고자 하는 포인트를 누르면 주변이 터치되어

 

쓰고 지우고는 반복하고 있다. (나만 그런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 2008/10/13 17:33


2년 전 부터 라이카 D-lux3 제품에 장착해서 사용했는데...

 

최근 DSLR 바디를 교체하면서 불편함 또는 불만사항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 불편함이란 볼헤드가 라이카 D-lux3 바디의 무게를 충분히 커버해 줬다면

 

최근에 구입한 니콘 D700 바디와 렌즈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흔들거리거나 흘러내리는 문제였다.

 

때문에 적당한 볼헤드를 찾던중에 짓죠에서 생산하는 볼헤드가 적당해 보였다. 

 

하지만 실제 물건을 보지 못한 상황에서는 조금의 걱정이 앞섰다. 미니삼각대는 무엇보다 휴대성이 용이해야 하기

 

때문에 무게와 적당한 뽀대(?)등등... 온라인에서 본 볼헤드는 내가 가진 미니삼각대에 장착 하기에 과분수가 되지 않

 

을까 걱정이 되어 직접 오프라인매장을 찾아서 구입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미니삼각대와 연결된 모습

 

볼헤드는 짓죠 제품이며, 미니 삼각대는 라이카 제품이다.

 

시장에 여러가지 미니 삼각대가 판매되고 있지만 조금 허접하고, 견고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이 라이카 미니 삼각

 

대 제품은 견고성이 매우좋고, 휴대성도 좋다. 다만 가격이 16만원 정도로 비싸고, 본 제품용 볼헤드는 길이도 길고, 무게도

 

많이 나간다. 또한 가격이 20만원 중반대였던것으로 기억난다. 가격을 떠나서 길이가 길고, 무겁기 때문에 휴대성도 떨어지고

 

하여 구매순위에 밀려나 있었다.

 

짓죠 볼헤는 209,000원으로 가격으로는 비싸고(이 보다 더 비싼 볼헤드도 많다.- 목적에 맞는 볼헤드중에...)

 

과분수가 확실하지만...휴대성이 좋기 때문에 과감하게 구입을 하게 되었다.  

 

실제 장착된 모습을 보면 잘 어울리는 편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좌측이 만프로토 482 볼헤드로 가벼운 바디에선 문제가 없었는데...D700+시그마50.4 에서는 흔들리는 문제점 및

 

고정된 상태를 유지못하고, 시간이 지나면 바디가 조금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다.

 

볼헤드의 크기만으로 봐도 두 제품이 큰 무게 차이가 날것 같지만... 실제 무게에서는 별 차이를 느끼지 못할 것이다. 

 

아마도 짓죠의 볼헤드가 마그네슘 재질이고, 만프로토는 쇠라는 차이에서 오는 무게 차이일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상단 고정부분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볼 부분을 고정하는 손잡이 부분

 

가격만큼 한 뽀대하는건 확실하다.

 

요즘은 대부분 이런 볼헤드 보다는 좀 더 전문가적인 볼헤드를 많이들 사용하는데....그런 볼헤드는 많이 무겁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 Recent posts